반응형

손가락 염좌, 긴장 등 각종 손가락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2010년 50만여명에서 59만여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는 대화면 스마트폰이 늘어난 것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화면 스마트폰은 과거 패블릿(Phone + Tablet = Pablet)이라는 말로 불리는 제품이 나오면서 시작된다.

 

2010년 시작된 대화면 스마트폰, 패블릿

최초의 패블릿 칭호를 받은 델 스트릭

 

2010년 출시된 델 스트릭이 5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가로: 79.1mm, 세로: 152.9mm, 두께: 9.98 mm, 무게220g였으니까 무게를 제외하고는 2019년같으면 그냥 평범한 핸드폰이다. 화면크기만 따지만 5인치는 출시되지도 않는 작은 핸드폰에 속하고. 참고로 갤럭시S10+, 갤럭시10E의 중간 크기라고 할 수 있는 갤럭시S10가 70.4x149.9x7.8 mm 150g이니 크기만 따지면 최초의 패블릿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대화면폰의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갤럭시노트1이 정식 출시된 것이 2011년 10월이다.

최초의 갤럭시노트


이후 스마트폰은 작게 만들고 디스플레이는 크게 만드는 기술이 발달했는데도 화면은 끊임없이 커져갔다. 일부 사용자들은 한 손에서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는 사용환경을 원했기 때문에 소니 엑스페리아 컴팩트 시리즈나 아이폰SE로 눈을 돌렸지만, 어디까지나 플래그쉽에 준하는 수준의 성능이나 옵션의 타협이 이루어진 보급형 셩격이 짙어 이것은 또다시 대다수 사용자들의 외면을 부르는 악순환을 야기시켰다.

 

2010년대의 대화면 스마트폰이 2020년 문턱의 평범한 폰이 되었다.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잘 팔리는 스마트폰을 내놓아야 했고, 대화면 스마트폰이 그렇지 않은 스마트폰에 비해서 잘 팔렸기 때문이다. 그 결과 현재 2019년 9월 출시되는 아이폰 XI, 아이폰11은 세로 143.9mm 가로 71.4mm 두께 7.8mm의 과거같으면 패블릿 소리를 듣는 크기가 된 셈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아시아의 스마트폰 유저들이 주머니보다 가방에 핸드폰을 넣고 다니는 경향이 있어 대화면 스마트폰이 인기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손가락 염좌, 긴장 통증이 의심된다면 작은 스마트폰을

돈만 많으면 화면이야 크면 좋지, 라는 생각과는 별개로 어쨌든 대화면 스마트폰은 염좌, 긴장 등의 손가락 통증에 그렇게 좋지 않은 것만은 확실해보인다.

반응형
반응형

샤오미공기청정기 미에어2S를 쓴지 반년이 지났다. 

 

미에어2S는 미에어2에서 초미세먼지 수치를 더 정확하게 보여주는 레이저센서를 추가한 것이다. 같은 샤오미공기청정기 미프로가 거실용이라면 이건 방용. 그래서 어머니에게는 미프로를 사드리고 나는 미에어2를 샀다.

옛날 사진을 뒤져보니까 개마스크 사진이 있네. ㅋ

 

이거 보고 웃다가 바로 샤오미 공기청정기 검색해서 미에어2S샀나보다.

 

 

이사갈 때 유용했던 포장지

탄성있는 하얀 포장지에 싸여있는데, 저 포장자재 나중에 이사갈 때 좋았다. 따로 뭘로 쌀 필요도 없이 저 하얀걸로 뒤집어 씌워 이삿짐칸에 실으면 되니까.

 

내가산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중국판. 220V 돼지코를 무료로 동봉해준다. 12만원 정도에 구입한 나는 단지 저렴해서 그냥 중국판이면 어때, 하고 샀는데, 뒤늦게 알았지만 이게 축복이었다.

뒷판 뚜껑을 여니 기본 필터와 콘센트 선이 들어있다. 

 

저 뒷판 위에 스피커처럼 되어 있는 부분이 레이저센서다. 그런데 샤오미 공기청정기의 레이저센서는 초미세먼지만 감지해서 표기해주고 미세먼지수치는 감지하지 못한다는 게 함정.

 

콘센트를 따로 샀다

어디 보니까 저 하얀색 110볼트 선에다가 돼지코 연결해서 썼더니 불꽃이 튀는 등 불안정하다고 하더라.

 

그래서 몇천원 주고 그냥 220V연결선 하나 샀다.

 

고무밴드를 당기니 샤오미 공기청정기의 둥근 원통형 모양의 필터가 쉽게 딸려나온다.

 

저 필터는 내가 산 샤오미 미에어2S나 그냥 미에어2, 미프로 모두 공용이다. 그래서 저렴한 거 여러개 사서 엄마도 드리고 그랬다. 기본 제품인 파란색, 녹색(탈취), 보라색(향균) 제품이 따로 있고 정품필터도 있고, 호환필터도 있다.

 

호환필터는 성능은 다를 바 없는데 남은 필터 사용 기간 표시가 정확하지 않다고 해서 나중에 정품필터를 사서 갈아주었다. 0%가 될 때까지 사용기간은 5개월 정도. 나는 매일 켜두었고 초미세먼지수치10만 넘으면 세게 돌아가도록 조건 설정해두어서 수시로 쌩쌩 돌아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면 저거보다는 더 길게 사용할 수 있을 듯 하다.

 

이렇게 초미세먼지 수치가 올라간다

40, 이라고 올라간게 초미세먼지 수치다.

 

밑에 온도와 습도가 표시되고, 부채꼴 모양은 와이파이 연결이 제대로 되었다는 것. 하트 모양은 현재 오토모드가 아니라, 내가 설정한 사용자정의 모드라는 것이다. 초미세먼지 70이 넘어야 세게 돌아가는 오토모드는 A로 표시되고, 가장 조용한 수면모드는 S로 표시된다.

샤오미 미에어2S 핸드폰 연결

샤오미 공기청정기에는 위에 버튼 하나, 뒤에 버튼 하나가 있는데 스마트폰 연결을 하려면 두 버튼을 동시에 몇초간 누르면 된다. 

 

액정에서 부채꼴 모양이 껌벅이면서 핸드폰이 미에어2S를 찾기 시작할 것이다.

 

자동추가를 하면 오른쪽과 같이 Mi Air Purifier라고 자동으로 기계를 발견하지만, 이게 여의치 않으면 수동연결을 할수도 있다. 왼쪽에서 환경 관련 가전을 눌러 해당 샤오미 공기청정기 모델을 수동으로 찾아들어갈수도 있다.

 

이걸 하려면 와이파이 공유기가 켜 있어야 하고, 핸드폰도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샤오미공기청정기 중국판이어야 조건 설정을 할 수 있다

나는 G9 중국직구를 이용해 샤오미 공기청정기를 샀는데, 경우에 따라 중국판이 올 수도 있고, 글로벌판이 올 수도 있다. 나는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중국판으로, 샤오미 로봇청소기는 국내판(글로벌판)으로 왔다.

 

중국판이든 글로벌판이든 똑같다. 그런데 빡치게 하는건 글로벌판은 자동화 기능을 통한 if, then조건식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초미세먼지 수치에 따라 사용자모드로 세게 틀 수 있어서, 이게 없다면 샤오미 공기청정기를 제대로 쓴다고 할 수가 없다. 나는 중국판이어서 이게 되는데 엄마한테 사준 미프로는 글로벌판이서 항상 오토모드다. 오토모드는 거의 올라갈 일 없는 초미세먼지 수치 70이 넘어야 세게 틀 수 있으니까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온전히 사용할 수 없다고 보면 된다.

 

또한 두개 이상 샤오미기기를 가지고 있을 경우, 둘 다 중국판이라면 로봇청소기가 작동할 때 공기청정기를 세게 틀라든지, 습도 센서의 습도가 낮으면 로봇청소기를 움직이라든지 하는 조합도 쓸 수 있다. 글로벌판은 이게 안되고.

 

여기에 두 개 기기가 중국판, 글로벌판이 다를 경우, 핸드폰에서 양쪽의 알림을 한꺼번에 받을 수도 없고, 반드시 로그아웃을 하고 국가를 변경해야 하는 것도 번거롭다. 충분히 스마트하게 쓸 수 있는 제품을 그렇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지금은 공기청정기 쪽은 한번 설정해놓으면 알림 받을 일이 거의 없어서 로봇청소기쪽으로 로그인해 둔 상태다.

 

대채 왜 이렇게 만든거냐 왜...

반응형
반응형

마이크로소프르 윈도우10이 2019년 5월 업데이트를 개시한다.

 

개인적으로는 이게 왜 이제 되나, 라는 생각 때문에 모종의 후련함이 느껴지는 윈도우10 업데이트다. 밑의 사진은 해당 사항과 상관없는 사진이다. 이거 옛날에 뉴스같은데 보면 나오던데, 자료화면 없으니까 그냥 사람들 걸어다니는 장면 내보내던 거 말이다. 

 

라이트테마

안드로이드나 맥OS 등 요즘 운영체제에서 다크테마 추가가 대세인데 윈도우10은 반대로 라이트테마를 추가했다. 참신하다. 그리고 다크테마 나올 때마다 그걸로 교체하는 나지만 윈도우즈만큼은 밝은 게 어울린다. 프로그램 이름 자체가 '창문'이니까 뭐, 옛날부터 배경화면에 창문이 땅, 하고 뜨는 밝은 컨셉의 OS였지. 인정, 인정.

 

간편해진 화면 밝기 조절

조절 막대로 화면 밝기 조절은 모바일 환경의 장점을 데스크탑 OS에 도입한 식이다. 핸드폰에서 그렇게 하듯, 윈도우10 공지센터에 있는 화면 밝기 슬라이더를 밀고 당겨 화면을 밝거나 어둡게 할 수 있다.

 

 

윈도우 샌드박스

윈도우 샌드박스는 또다른 윈도우OS를 가상 운영체제식으로 띄우는 것이다. 이게 왜 필요하냐고 할지 모르지만, 윈도우 설정을 이리저리 바꿔가면서 뭔가를 하고 싶은 고급사용자, 개발자에게는 이것만큼 유용할 것이 없다. 해서 전에는 따로 유틸리티로 존재하던 윈도우앱을 이번 2019년 5월 윈도우10 업데이트가 흡수했다.

VR지원 강화

VR지원을 강화해서 '구식프로그램'도 증강현실로 돌릴 수 있도록 했다. 한마디로 VR안경으로 포토샵을 띄워놓고 사진을 보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시작메뉴 단순화 및 시작메뉴에서 앱 삭제

이번 5월 윈도우10 업데이트에서는 시작메뉴에 노출되는 사항을 간소화시키고 시작메뉴에서도 윈도우앱을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시작 버튼 눌러서 프로그램을 복사하거나 삭제하는 기능은, 이걸 왜 안되게 했는지 그 옛날에 윈도우95였을 때부터 의문이었지. 윈도우95. 옛날에 8메가램 갔다가 버벅버벅 난리였던, 우리집 최초의 PC가 떠오르는군.

 

이게 왜 안되나, 가 당연히 안되는걸로 생각되게 만든 20여년의 시간. 그간 나도 고정관념의 나이를 먹었구나, 마이 무따아이가

윈도우10 업데이트 일시중지 가능

한창 중요한 작업 하다가 윈도우10 업데이트 때문에 빡친 경험 한번씩 있을 것이다.

 

노트북 펼치고 작업하다가 끄려고 하는데 갑자기 업데이트 시작해서 난감하게 만드는 타이밍 이제 안녕. 2019년 5월 윈도우10업데이트를 통해 이제 윈도우 업데이트는 중단, 및 일부만 받기, 기존 버전 계속 사용하기, 등 여러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