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목조목 비교해보자.

2017년 3월, 네이버검색이 화면 구성을 새롭게 한 데 이어 다음검색 화면도 바뀌었다. 둘의 공통점은 화면의 빽빽함이 덜 해지고, 넓어보이는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두 포탈에서 인물과 기업, 그리고 제품, 영화와 TV프로그램 컨텐츠물을 각각 검색해보았다. 비교해 볼 것은 검색어를 쳤을 때 스크롤을 내리지 않은 상태다. 웹브라우저는 최근 <네이버>에서 내놓은 웨일브라우저를 사용했다.


인물 검색



인물은 최근 대선 지지도 1위를 달리는 문재인을 검색해보았다. 아래 화면인 <다음> 쪽이 첫화면의 포인트가 더 크다. 인물사진이 더 크고, 문재인이 쓴 저서라든지, 인물관련 항목 역시 큼직큼직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사이드화면 역시 인물의 가족을 배열하여 인물에 대한 관계적 측면도 파악할 수 있게 해놨다.


<네이버>쪽은 사이드화면에 해당 인물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뉴스토픽과 인기검색어를 배치했다.


기업 검색



기업은 LG를 검색해보았다. 기업 역시 인물과 마찬가지로 <다음>은 사이드화면에 기업에 대한 정보를 배치했다. <다음>은 LG의 기본적인 기업정보와 동향업종 종목의 주가지수까지 상세하면서 심플함을 잃지 않는다.


반면 <네이버>는 주가지수 정보를 메인화면에 놓고, 사이드 화면에 네이버도구모음을 둔다. 그리고 아래에는 LG본사 위치가 있다. 맛집이나 옷가게같은 경우 위치가 중요하겠지만 LG본사 위치가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 화면은 다음검색에 한표다. 


제품 검색


제품은 삼성 갤럭시S8을 검색해보았다. 이건 위의 <네이버>의 화면이 더 마음에 든다. <네이버>는 기업이 제공한 해당 제품의 정보 항목을 두었는데, 이것이 화면을 디자인친화적으로 만들고, 제품에 대해 내가 원하는 정보를 접근하기 용이하다는 생각이 든다. 


<다음>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이미지와 정보창 대신 그냥 제품을 만든 해당 기업의 사이트로 연결시켜놓았다. 첫 화면이 덜 매력적이라는 생각이다.


제품 항목에서만첫 화면 아래를 비교해보자면, <네이버>는 검색창 아래로 브랜드 검색(관련광고), 뉴스가 나오고 바로 네이버쇼핑으로 연결된다. <네이버>는 전체적으로 제품 쇼핑에 가까운 느낌이다. 쇼핑 아래로 동영상, 블로그 등 SNS나 커뮤니티가 놓여져 있다. <다음>은 반대다. 검색창 아래로 제품을 내외각에서 바라보는 시선을 담은 뉴스, 트위터, 등이 있고, 다음쇼핑은 몇계단 아래 블로그 항목 아래에서야 등장한다. <다음>은 제품을 광고하기보다, 제 3자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정보 큐레이션을 우선한 것 같다.


영화 검색



영화는 <미녀와 야수>를 검색했다. 그랬더니 노클릭 노출 기준으로 <네이버>는 극장정보 중심으로 되어 있고, <다음>은 영화 정보 중심으로 되어있다. <다음>은 영화의 주연이 누구인지, 줄거리가 무엇인지 알 수 있고, 배역 얼굴까지 소개해준 반면, <네이버>는 사이드에도 상영영화 주말 박스오피스, 개봉예정작 등 극장 상영작 중심의 정보를 보여준다.

 

이것은 때에 따라 다를 것 같다. 그 영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고 싶으면 다음검색을, 당장 영화 한편을 봐야 하는 기회비용을 물색할 때는 네이버검색 쪽의 창 화면이 더 반가울 것 같다.  


TV프로그램



TV프로그램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본 프로그램으로 뽑힌 바 있는 <무한도전>을 검색했다. 이건 네이버검색 쪽 화면이 더 마음에 든다. 다음검색은 프로그램 정보가 너무 자세하다. 영화와는 달리 <무한도전>같은 TV프로그램은 대부분 시리즈물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한, 두 회, 그 자체가 프로그램 정보 프리뷰가 되므로 정보가 너무 자세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동시간대 다른 채널 시청률을 짚어준 것도 <네이버> 쪽이 좋다.


<다음> 쪽은 해당 회차 게스트 정보가 사진으로 나와서 좋다. 게스트에 따라 프로그램 자체의 선호도가 변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